절세2 미국 주식 국내상장 ETF vs 미국상장 ETF 세금 비교, 절세계좌 투자의 BEST 시나리오 배당투자를 하는 분들이 항상 골치 아파하는 게 있죠. 바로 세금! 관련된 내용 공부하면서 정리해 봤습니다.미국 주식 국내상장 ETF vs 미국상장 ETF 세금 비교 p205-225 중에서1. 어느 계좌에 담아야 절세가 될까우리가 ETF로 미국 주식에 투자한다면, 미국에 상장된 ETF와 국내에 상장된 ETF 두 가지 옵션이 있다. 같은 성격의 ETF라면 같은 기초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수익률에선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는 세금이다해외 ETF에 투자한 경우, 배당금은 금융소득으로, 매매차익은 앞에서 설명한 개별종목의 매매차익 양도세로 계산하여 분류과세하면 된다. 또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는 매매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가 없는 대신 매매차익 전부를 배당소득으로 보고 과세하기 때문에 배당금과.. 재테크 2025. 1. 24. 더보기 ›› 금융소득종합과세를 피하는 방법 3가지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면 무조건 세금 부담이 폭탄 수준으로 늘어날까요? 그럴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절세형 상품 투자 ISA, 연금저축계좌나 개인형퇴직연금계좌 IRP 활용, 금융상품의 만기를 기간별로 분산, 증여를 통한 3가지 방법으로 금융소득종합과세를 피하는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를 참고하였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를 피하는 방법 3가지 금융소득 중 2000만 원까지는 원천징수 세율인 15.4%(지방소득세 포함)로 분리 과세되지만,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융소득은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누진세율(6.6~49.5%)을 적용해 세액을 계산합니다. 다른 소득이 많은 사람이라면 2000만 원 초과되는 금융소득에 높은 세율이 적용되어 세금 부담이 많아질 수 있지만, 다른 소득이 없다면 금.. 재테크 2024. 11. 11.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