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약 부모가 아이에게 이런 말을 해줄 수 있다면 | 마흔에 읽는 융 심리학

달팽이상점 2025. 4. 16.

만약 부모가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자식을 무조건적으로 믿어줄 수 있다면, 우리 삶과 세상에는 아주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마흔에 읽는 융 심리학 책을 읽고 부모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해체된 모든 가족은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요약. 발췌해 봤습니다.

만약 부모가 아이에게 이런 말을 해줄 수 있다면

마흔에 읽는 융 심리학

“너는 우리에게 아주 소중한 존재야. 너는 언제나 우리의 사랑과 응원을 받을 거야. 네가 세상에 태어난 것은 너 자신의 삶을 가꾸기 위해서란다. 남에게 절대로 해를 입히지 말되, 네가 될 수 있는 만큼 충분히 되려는 노력을 멈추지 마. 너는 넘어지고 실패할 때에도 여전히 우리의 사랑을 받을 것이고 환영받을 거야. 하지만 네가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우리를 떠나기 위해서야. 우리를 기쁘게 해주는 그런 일에 대해서는 조금도 걱정하지 말고 너의 운명을 개척하며 꿋꿋이 나아가도록 하렴.” 우리 역사가 얼마나 많이 바뀔까! 또 자신의 나르시시스트적 욕구를 기꺼이 희생하는 부모의 용기 덕에 아이는 얼마나 큰 자유를 누릴까! 그러면 각 부모는 아이를 통해 살지 않고 삶이 그에게 가져오는 질문을 다룰 자유를 얻을 것이다. 아이들은 수치심을 느끼거나 자괴삼에 빠지지 않고 언제나 사랑과 응원을 받는 가운데 세상을 탐험하고 실험하며 비틀거리다가도 다시 일어서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이 아이는 인생을 살다 보면 당연히 겪게 되는 패배와 절망의 시기에 가족의 사랑과 응원을 영혼의 양식으로 삼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들 중에서 자식에게 이런 식으로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풀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자신이 그런 사랑을 받아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사는 이상한 방식으로 되풀이된다.

 

융이 너무도 정확한 표현으로 모든 부모의 급소를 찔렀듯이, 자식이 떠안게 되는 가장 큰 짐은 바로 부모들의 살지 못한 삶이다. “대체로 아이에게 정신적으로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모가 살지 못한 삶이다” 융이 전하고자 하는 바는 부모가 성장하기를 멈추고 두려움에 떨며 인생 여정의 모험을 감수하지 못할 때, 그러한 부모의 모델과 제약 그리고 영혼을 거부하는 태도가 아이에게 내면화된다는 뜻이다. 그 결과, 성인이 된 아이가 부모가 되었을 때, 이 패턴은 또 다른 가족과 또 다른 아이에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부모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더욱 충만한 삶으로 모범을 보여주려고 노력하라. 당신이 자식들에게 원하는 그런 도덕적 기준을 그대로 삶으로 실천하라. 아이들에게 당신과 다를 수 있도록 말하자면 그들이 추구하고 싶어 하는 삶을 살도록 허락하라. 기준과 경계선, 합리적인 기대를 제시하는 가운데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풀어라.

 

부모의 가치를 모방하라거나 좋은 학교에 들어가거나 괜찮은 사람과 결혼하거나 좋은 일자리를 선택하라는 식으로 어떤 목표를 성취하라면서 아이에게 부담을 주는 예를 얼마나 자주 보았는가. 만약 그 요구를 따르지 않으면 아이는 실패했다는 느낌이나 죄의식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반면에 부모의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인 선택에 순응하는 아이는 다른 사람의 삶을 사는 처지에 놓일 것이다. ‘나의 부모를 기쁘게 해주면서 내면적으로 죽어가든가, 아니면 독립적으로 인생 여정에 나서면서 부모의 사랑을 포기하든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아이가 처한 딜레마가 얼마나 가혹한가. 아이의 독특한 여정을 그런 식으로 망쳐놓는 것은 일종의 영적 폭력이다. 그리고 결정적인 선택이 다 이루어지고 몇 년이 지나서야 겨우 자신에게 이런 영적 결함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해체된 모든 가족을 보면

어느 청년은 자기 부모가 이혼할 때 느낀 심정을 이런 식으로 표현했다. “제가 집을 떠나야 한다고 생각했지, 집이 저를 떠날 줄은 몰랐어요.” 이런 농담 아래에는 청년의 눈물이 맺혀 있었다. 대략 아이들의 절반 정도가 가족의 해체를 경험한다. 많은 경우, 이 해체가 오히려 아이에게 이로울 수도 있다. 아이들의 일상을 괴롭히는 갈등과 불만의 원인 중 일부가 제거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 어떤 경우에는 가족의 해체가 일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해체된 모든 가족을 보면, 거기에는 부모에 대한 깊은 갈망과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가정에 대한 환상, 불확실한 세상에서 집이 약속하는 안전에 대한 갈망이 있다.

댓글